모든 콘텐츠는 저장해야 볼 수 있어요. 해외에서는 인터넷이 잘 안 될 수 있으니, 미리 구매하고 다운로드 해 두세요!
소개
1인사말
안녕하세요, 브레라 미술관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저는 오늘 여러분과 함께 브레라 미술관 투어를 진행할 가이드 김진입니다. 반갑습니다! 밀란에 오시면 여러가지 볼거리가 있지만 그중에 제가 가장 추천하는곳이 바로 브레라 미술관인데요.
제가 브레라 미술관을 추천하는 이유는 3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브레라 미술관은 이탈리아 3대 미술관중 한곳이기 때문인데요.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 로마의 바티칸 미술관과 함께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3대 미술관중 하나인 만큼 밀란을 방문하시면 브레라 미술관을 꼭 들리셔야 하고요
두번째는 이곳이 근대 이탈리아의 슬픈 역사가 숨쉬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18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가 이탈리아 북부를 지배할때 이곳에 예술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한 브레라 아카데미를 설립했었고요. 그후 이탈리아를 점령했던 나폴레옹이 '제2의 루브르'를 만들 목적으로 북이탈리아에서 몰수한 예술품들을 이곳으로 모으면서, 지금의 브레라 미술관이 탄생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유서가 깊은 곳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세번째는 북이탈리아 예술의 정수를 볼수있는곳이 바로 이곳이기 때문입니다. 안드레아 만테냐의 죽은 그리스도 부터 베네치아 대표화가인 조반니 벨리니 작품들 그리고 이탈리아 낭만주의 대표화가인 하예즈 작품들까지 이곳에 직접 방문하지 않는다면 보기힘든 그런 작품들을 볼수있다는게 세번째 이유인데요.
오늘 저와 함께 브레라 미술관의 역사와 작품 이야기를 들으시면서 더욱 풍성한 미술관 관람이 되시길 바랄게요!
2여행전듣기- 입장권 구매방법
이번 트랙에서는 밀란 브레라 미술관 입장권 구매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밀란 브레라 미술관 입장권은 크게 온라인 구매와 현장구매 이렇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매할 수 있는데요. 구매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투어라이브 - '밀란 브레라 미술관 투어 소개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입장권 구매 방법이라고 적힌 부분을 클릭하면 투어라이브 블로그로 연결되는데요. 거기에 나와 있는 대로 따라 하셔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각 방법의 특징 과 장단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릴게요.
첫 번째, 온라인 구매는 브레라 미술관의 공식 홈페이지나 외부 티켓 예매 사이트에서 미리 구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론 브레라 미술관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시는걸 추천드리고요. 공식 홈페이지 들어가서 구매하시게 되면 입장시간은 15분 간격으로 입장할수있습니다. 예를들어 10시 입장표 10시15분 입장표 10시30분 입장표 이런식으로 구분되어있어서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하시면 되고요. 참고로 매달 첫번째 일요일은 무료입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사전예약을 해야지만 입장가능하기때문에 반드시 무료입장권을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셔야합니다. 하지만 미리 표를 구매하시게 되면 환불이 안되기 때문에 일정이 바뀌거나 했을때는 표를 날려야 하는 단점이 있을수 있다는점 참고해주시고요
두 번째, 현장 구매는 미술관에 직접 가서 티켓을 구입하는 방법인데요. 이 방법은 비수기때는 무리없이 입장 가능할수도 있지만 본인이 원하는 시간대가 이미 매진되어있어서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수도있고요 성수기에는 줄이 길수도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미리 표를 구매한게 아니다보니 그날 스케줄 혹은 컨디션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할수있다는 장점이 있죠.
개인적으로는 온라인 구매를 더 추천드리지만 본인의 상황에 맞게 두가지중 하나를 선택해서 표를 구매하시면 될거 같고요. 온라인 구매하는법은 투어라이브 블로그에 자세히 올려두었으니 참고해서 구매해주세요.
목차
52 트랙1시간 27분
인사말 1분
여행전듣기- 입장권 구매방법 2분
여행전듣기- 브레라 미술관 가는 방법 1분
여행전듣기- 입장 시간 및 휴관일
여행전듣기- 물품보관소 위치 안내
여행전듣기- 화장실 위치 안내
5
후기 (1개)
크리에이터
안녕하세요. 호기심 넘치고 사랑 많은 여러분의
가이드, 김진입니다.
여행하는 소중한 시간 속에서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느끼실 수 있도록,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잔뜩 들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