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콘텐츠는 저장해야 볼 수 있어요. 해외에서는 인터넷이 잘 안 될 수 있으니, 미리 구매하고 다운로드 해 두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바르셀로나에서 11년간의 요리유학을 마치고, 서울 서촌에서 따빠스구르메라는 스페인 레스토랑을 운영한 김문정 셰프입니다. 지금은 서촌 까사비바에서 원테이블 레스토랑과 쿠킹클래스를 운영중입니다.
제가 처음 스페인음식과 사랑에 빠졌던 때가 생각납니다. 유럽배낭여행의 마지막 여행지였던 바르셀로나에서 맛본 타파스와 사랑에 빠져, 로마의 트레비분수에서도 소원을 빌지않았던 제가 몬주익언덕에서 동전을 던지며 간절히 소원을 빌었답니다.
‘따사로운 햇빛이 내리쬐고, 맛있는 음식이 넘쳐나며, 눈부신 지중해가 있는 이 아름다운 도시에서 꼭 살아보고 싶어요’ 라구요. 그리고 3년후 저는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바르셀로나로 요리유학을 떠났고 결국 스페인요리셰프가 되었습니다.
지금 이 가이드를 듣는 여러분, 어쩌면 이번 스페인을 향하는 여러분의 여행이 단순한 여행에 그치지않고 여러분의 운명을 바꾸는 놀라운 여행이 될지도 모릅니다. 왜냐구요? 매력이 넘치는 스페인음식과 문화는 여러분을 어디로 데려갈지 모르거든요. 이제 스페인음식이 좀 궁금해지시나요?
스페인 한 나라에서 4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걸 알고계세요? 스페인어, 카탈란어, 갈리시아어, 바스크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각 지방마다 역사가 다르며 독특한 문화를 뽐내고 있습니다. 면적이 넓고, 기후도 다양해서 생산되는 식재료 또한 다양합니다.
여러분께 스페인 음식의 매력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제가 그 음식들을 직접 해드리고싶지만 그 대신 맛깔나는 이야기로 여러분을 안내하겠습니다. 자 시작해볼까요?
00:00 크리에이터 소개: 김문정 셰프, 스페인 요리 유학을 떠나다
00:52 투어 소개: 스페인 4개 지방의 맛깔나는 음식 이야기
스페인은 한국보다 5배 정도 큽니다. 17개의 주마다 공식언어인 스페인어 외에 까딸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가 제2의 공식언어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르셀로나에서 대중교통을 타보시면 바로 아실겁니다. 안내글 첫번째로 써있는 언어는 까딸루냐어이고 그 다음이 스페인어 마지막으로 영어가 써있습니다. 학교에서도 까딸루냐어로 수업합니다. 까딸란어방송도 있답니다. 갈리시아나 바스크 지방의 공항에 가보시면 각각의 언어가 1 순위로 써있고 그 밑에 스페인어가 써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스페인은 매우 다른 문화가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나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북동쪽은 프랑스와 맞닿은 웅장한 피레네 산맥과 평온한 지중해가, 북서쪽은 칸타브리아 산맥이 대서양을 향해 뻗어있고, 드넓은대서양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남쪽에는 시에라네바다 산맥이 그라나다를 품고 있습니다. 시에라네바다는 눈으로 덮인 산자락이라는 뜻인데 그라나다의 알함브라궁전과 함께 보이는 모습이 절경입니다.
햇빛이 가득한 넓은 땅, 면하는 바다도 넓고, 큰 산맥도 나라를 세 곳으로 가로지르며 보호도 해주니 수많은 민족들이 이 땅을 탐내지않을 수 없었겠지요. 한마디로 바람잘 날 없는 역사였습니다. 다양한 민족이 거쳐갈 때마다 상처도 남겼지만 기존의 문화와 새로운 문화가 지속적으로 섞이고 발전하고 세련화되며 지금의 스페인의 모습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럼, 어떤 민족들이 거쳐갔길래 오늘날 관광수입만으로도 먹고 살만큼의 문화유산을 갖게되었을까요? 다음 편을 들어주세요!
먼저 이베리아반도의 원주민이었던 이베리아인, 유럽에서 내려온 켈트족, 지중해에서 건너온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이 살고 있었고, 포에니전쟁의 승리로 이베리아반도는 로마의 땅이 되어 로마의 영향을 받습니다. 서로마가 멸망한 후 게르만족의 일파인 서고트족이 피레네 산맥을 넘어와 왕국을 세웠으나, 정치적으로 혼란한 틈을 타서 711년, 드디어 이슬람교도인 아랍인이 지중해를 건너와 스페인 북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땅을 지배하게 됩니다. 이 때 밀려난 카톨릭 세력은 산악지방인 북부 아스투리아로 도망쳤구요. 여기서부터 약 800년에 걸친 국토회복운동이 시작되었고, 1492년이 되어서야 이사벨여왕과 페르난도 2세가 아랍인들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지금의 스페인 국가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왕실의 후원아래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는 아메리카의 다양한 식재료를 유럽에 전하여 스페인 뿐만 아니라 전유럽의 음식문화가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스페인을 찾은 페니키아인은 올리브나무와 포도나무를, 로마인은 생선을 소금에 절이는 방법과 올리브유 만드는 법을 알렸습니다, 아랍인들은 쌀과 커피원두, 무화과, 석류, 아몬드, 오렌지, 레몬, 사탕수수 등을 들여왔습니다. 아랍인들이 오랜 시간동안 지배하지 않았다면 지금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페인의 쌀요리 빠에야도 존재하지않았겠지요?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 로마인이 거쳐가지 않았다면 그 유명한 스페인의 올리브유도, 리오하와 리베라 델 두에로에서 나는 세계적인 와인들도 우리의 식탁에서 만나기 어려웠을 겁니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에서 들여온 토마토 덕에 안달루시아를 대표하는 야채스프인 가스파쵸를 맛볼 수 있고, 츄러스를 찍어먹는 뜨뜻달콤한 초콜라떼도 맛볼 수 있는 것이죠.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맛있고 다양한 스페인음식은 결국 다양한 문화가 긴 시간의 용광로안에서 만들어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음식은 지도이고 역사이며, 맛있어서 즐거운 문화입니다.
00:00 스페인 국가의 역사
01:09 다양한 문화가 녹아든 스페인 음식 문화
셰프 김문정은 레스토랑 따빠스구르메를 운영했으며, 현재 CASA VIVA(까사 비바)를 통해 스페인 음식문화 연구와 클래스, 원테이블 레스토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력
Universitat de Barcelona Cett 레스토랑 경영학과
스페인 Pasta회사 Pasta Gallo 전국요리대회 2등
Universitat de Barcelona Cett 요리대회 1등
Escuela de Hosteleria Hoffman 스페인전문요리과정
Universitat de Barcelona 'Dieta Mediterranea' 지중해음식문화 석사과정
Hotel Majestic 'Drolma' 레스토랑
Casa Gourmet(까사구르메) 바르셀로나에서 까사구르메 원테이블 레스토랑 운영
Tapas Gourmet(따빠스구르메) 서울 서촌에서 따빠스구르메 스페인 레스토랑 운영
현재 서촌 CASA VIVA(까사 비바)에서 원테이블 레스토랑, 쿠킹클래스, 컨설팅, 스페인/지중해음식연구활동중
📚저서
스페인은 맛있다
바르셀로나 미식가의 집 까사구르메
📺 방송 및 강연
EBS, KBS TV출연
MBC 라디오 출연
전주방송 출연
농심 본사 직원 스페인 음식문화 강연
청강대 푸드스타일리스트 강연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압구정 강연
🔎 개인 블로그
blog.naver.com/casa_viva